Home > 입학상담 > 공지사항
안녕하십니까? 디지털스토리텔링학과 이재홍교수입니다.
금년도의 입시경향을 공개합니다. 1번 문항은 작년도와 같습니다만, 2번 문항이 바뀌었습니다.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디지털스토리텔링학과의 전공시험은 고교 국어시간에 배운 문학적인 기본소양과 게임스토리텔링 및 각종 시나리오창작능력을 논술식으로 테스트 합니다. 그 출제 문제유형과 공부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
-----------------------------------
[문항1]
작문을 쓰도록 유도하여 창의력 및 문장력을 테스트합니다. (30점)
[공부방법]
- 국어시간 혹은 작문시간에 배운 대로 짧은 수필을 써 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 유명 작가들의 소설 및 수필집을 읽어 두고 감상문 쓰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예상문제 유형] ‘o o o’ 를 소재로(혹은 주제로) 수필을 써 보시오.
[참고사항]
문장력과 작품의 구성력을 높이는 방법은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평소에 일기 쓰기와 독서를 생활화 하십시오.
-------------------------------------
[문항2]
문화콘텐츠의 분석을 유도하여 이해력 및 구성력을 테스트합니다. (30점)
- 수험생 스스로의 느낌 및 소감을 잘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평소 감상소견을 글로 정리해 보는 습관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감상 대상: 인물, 사건, 배경 등)
[예상문제 유형]
1)자신이 최근에 감상한 영화(애니메이션, 드라마)의 ‘o o o` 에 대하여 논해 보시오.
2)자신이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소설(시, 수필)의 ‘o o o’ 에 대하여 논해 보시오.
3)자신이 가장 흥미를 느낀 광고(홍보물)의 ‘o o o` 에 대하여 논해 보시오.
4)자신이 경험한 게임의 ‘o o o` 에 대하여 논해 보시오. 등.
[참고 사항]
지금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이해력이 요구되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입니다. 다양한 장르를 통하여 수험생이 지닌 문화의 이해도를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하고자 합니다.
[기타사항]
1) 이상과 같이 2문제 모두 주관식(논술식)으로 출제 됩니다.
번호를 고르는 객관식보다 자신의 생각을 확실하게 어필할 수 있는 주관식이기 때문에 오히려 수험생에게는 유리한 테스트 방법입니다. 자신의 생각을 잘 정리하면 됩니다. 편안한 마음으로 준비하십시오.
2) 시험시간은 응시생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주기 때문에 걱정하지 마십시오.
3) 시험은 모두 펜으로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필체가 악필이라고 할지라도, 채점관이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써야 됩니다.
4)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의 디지털스토리텔링학과는 고졸 졸업생이라면 충분히 작성할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시험에 대한 압박감을 갖지 마시고, 현재의 학교 수업에 충실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이 바로 시험 준비의 첩경이라고 생각합니다.
5) 시험의 배점은 전공필기시험(60점), 면접시험(40점)입니다.
문사랑